이야기
복음나누기
작은 데서 부풀어 오르는 하느님 나라
연중 제30주간 화요일 (루카 13,18-21)
작은 데서 부풀어 오르는 하느님 나라
찬미예수님! 오늘 복음에서 예수님께서는 하느님의 나라를 겨자씨와 누룩에 비유하십니다. 저는 이 복음 말씀을 대할 때마다 만약 예수님께서 우리나라에 계셨다면 하느님의 나라를 뻥튀기에 비유하시지 않았을까 하고 생각합니다. 뻥튀기 아저씨가 ‘뻥이요!’ 하고 뻥튀기 기계 문을 열면 압력에 의해 큰 소리가 나면서 처음에는 아주 작았던 곡식 알들이 아주 큰 뻥튀기가 되어 나옵니다. 어렸을 때는 참 신기하면서도 작은 곡식 몇 톨로 풍족함을 느낄 수 있었던 기억이 있습니다.
겨자씨와 누룩, 이 두 가지도 뻥튀기와 다르지 않은 것 같습니다. 겨자씨는 아주 작은 씨앗이지만, 그것을 심으면 새들이 깃들일 만큼 아주 큰 나무가 됩니다. 누룩도 아주 적은 양만으로 밀가루 서 말을 온통 다 부풀릴 수가 있습니다. 뻥튀기도 처음에는 아주 작은 곡식이지만, 뻥 하고 튀겨지면 온 식구가 함께 나누어 먹을 수 있을 만큼 많아집니다.
그런데 오늘 우리는 이 비유 말씀을 들으면서 두 가지 측면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첫 번째는 왜 굳이 예수님께서는 하느님 나라를 처음에는 작지만 나중에 커지는 것에 비유하셨는가입니다. 예수님께서도 하느님 나라를 무엇에 비길까 하고 고민하다가 찾으신 것이 겨자씨와 누룩입니다. 예수님께서는 하느님 나라가 이미 우리 곁에 와 있다고 말씀하신 적이 있습니다. 그런데 우리는 하느님 나라가 우리 곁에 와 있다는 것을 평소에는 잘 알아차리지 못합니다. 왜냐하면 하느님 나라는 아주 작은 것에 숨어 있기 때문입니다. 그것이 큰 나무가 되었을 때 비로소 우리는 이것이 하느님 나라였구나 하고 알게 됩니다. 이것이 작은 씨앗일 때, 그리고 작은 누룩일 때 알아차릴 수 있다면, 그리고 이것이 온통 부풀어 오를 수 있는 것임을 알아차릴 수 있다면, 우리는 이것을 함부로 하지 않을 것입니다. 우리 삶에는 이렇게 작은 것들이 헤아릴 수 없이 많습니다. 우리가 찾으려고 하지 않으면 쉽게 지나쳐 버릴 수 있는 것들이죠. 우리가 서로 나누는 따뜻한 말 한 마디, 작은 미소 안에도 하느님 나라가 있습니다. 예수님께서는 바로 이것을 우리에게 가르치고 계시는 것이지요.
두 번째 우리가 주목해야 할 것은 바로 이 작은 것들이 어떻게 커지고, 어떻게 부풀려지는가입니다. 예수님의 비유를 잘 살펴보면 그 안에 하느님께서 하시는 일이 숨어 있습니다. 그것은 바로 나무를 자라게 하는 것, 그리고 밀가루 서 말을 온통 부풀리는 것입니다. 이것은 우리가 하는 것이 아닙니다. 겨자씨가 어떻게 자라서 큰 나무가 되는지, 그리고 조금의 누룩이 어떻게 밀가루 서 말을 부풀리는지 우리는 알 수 없습니다. 우리가 해야 할 것은 바로 아주 작은 겨자씨를 심는 것, 그리고 누룩을 가져다가 밀가루 서 말 속에 집어넣는 것뿐입니다. 그런데 가끔 우리는 우리가 이것들을 부풀리려고 할 때가 있습니다. 그렇게 되면 거기서 자라나는 것은 하느님 나라가 아니라 내 나라일 것입니다.
우리는 일상 안에서 작은 사랑의 실천들을 할 수 있습니다. 우리가 이런 작은 것들을 실천할 때에, 오늘 복음에서 가르치는 바를 명심하고 부풀리려고 하기보다는 오히려 땅 속에 심고 밀가루 서 말 속에 숨겨두십시오. 그러면 우리가 알지 못하는 방법으로 하느님께서는 온통 부풀게 해 주실 것입니다. 이것이 하느님 나라의 신비입니다.
번호 | 제목 | 작성자 | 작성일 | 추천 | 조회 |
1659 |
배반 예고 – 성주간 수요일
하느님의 사랑
| 2025.04.16 | 추천 0 | 조회 132 |
하느님의 사랑 | 2025.04.16 | 0 | 132 |
1658 |
말씀에 머무른다면 – 사순 제5주간 수요일
하느님의 사랑
| 2025.04.09 | 추천 0 | 조회 251 |
하느님의 사랑 | 2025.04.09 | 0 | 251 |
1657 |
계명을 스스로 지키고 – 사순 제3주간 수요일
하느님의 사랑
| 2025.03.26 | 추천 0 | 조회 368 |
하느님의 사랑 | 2025.03.26 | 0 | 368 |
1656 |
천사와의 만남 – 복되신 동정 마리아의 배필 성 요셉 대축일
하느님의 사랑
| 2025.03.19 | 추천 0 | 조회 556 |
하느님의 사랑 | 2025.03.19 | 0 | 556 |
1655 |
듣고 믿어서 회개함 – 사순 제1주간 수요일
하느님의 사랑
| 2025.03.12 | 추천 0 | 조회 727 |
하느님의 사랑 | 2025.03.12 | 0 | 727 |
1654 |
먼지로 돌아감 – 재의 수요일
하느님의 사랑
| 2025.03.05 | 추천 0 | 조회 994 |
하느님의 사랑 | 2025.03.05 | 0 | 994 |
1653 |
새로운 복음의 방향 – 연중 제7주간 수요일
하느님의 사랑
| 2025.02.26 | 추천 0 | 조회 1201 |
하느님의 사랑 | 2025.02.26 | 0 | 1201 |
1652 |
청원 기도 – 연중 제6주간 수요일
하느님의 사랑
| 2025.02.19 | 추천 0 | 조회 1160 |
하느님의 사랑 | 2025.02.19 | 0 | 1160 |
1651 |
나쁜 생각을 물리치려면 – 연중 제5주간 수요일
하느님의 사랑
| 2025.02.12 | 추천 0 | 조회 1535 |
하느님의 사랑 | 2025.02.12 | 0 | 1535 |
1650 |
시련의 의미 – 성녀 아가타 동정 순교자 기념일
하느님의 사랑
| 2025.02.05 | 추천 0 | 조회 1730 |
하느님의 사랑 | 2025.02.05 | 0 | 17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