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야기
복음나누기
겸손
가해 연중 제30주간 토요일 (루카 14,1.7-11)
겸손
찬미예수님! 옛날 6세기 경에 교황을 역임했던 그레고리오 1세 교황은 죄에 대해 분류하면서 모든 죄의 근원이 되는 7가지 죄를 이야기한 바가 있습니다. 흔히 칠죄종이라고 부르는 이것은 교만, 인색, 질투, 분노, 음욕, 탐욕, 나태입니다. 그런데 그중에서도 가장 최악이라고 꼽을 수 있는 죄는 단연 교만입니다. 옛날 우리 선조들이 읽었던 칠극이라는 책을 보면, 다른 죄들은 모두 특정한 대상이나 방법을 통해서 짓게 되지만, 교만만큼은 어떠한 방법으로도 지을 수 있고, 심지어는 우리가 쌓는 덕이나 선, 의로운 행위들을 통해서도 지을 수 있다고 하였습니다. 그만큼 우리가 이겨내기 어려운 것이고, 식별해내기 어려운 죄입니다.
그런데 그레고리오 교황은 이 칠죄종에 대해 말하면서 이것과 반대되는 일곱 가지 덕도 이야기하였습니다. 그것은 겸손, 관대, 정결, 인내, 절제, 굳셈, 용서인데, 이 덕들 가운데에서 단연 으뜸은 겸손입니다. 교만에 반대되는 덕으로서의 겸손은 예수님의 가르침에서부터 비롯하여 많은 교부들이 칭송해 마지 않던 덕입니다. 그래서 그리스도인이라면 왜 겸손해야 하는지 굳이 물을 필요가 없습니다. 하지만 문제는 어떻게 해야 겸손할 수 있는가 입니다.
오늘 복음에서 예수님께서는 초대받은 잔칫집에 놓여 있는 윗자리와 끝자리를 이야기하시면서 자신을 높이는 이는 낮아지고, 낮추는 이는 높아질 것이라고 가르치십니다. 여기서 우리는 겸손과 교만의 중요한 구분점을 발견하게 됩니다. 그것은 초대받은 사람을 영광스럽게 하는 이는 바로 초대한 이라는 사실입니다. 우리가 이 사실을 잊어버릴 때 우리는 교만해지는 것이고, 우리가 이 사실을 명심할 때에 우리는 겸손해지는 것입니다. 그러나 우리가 아무리 겸손하려고 해도 내가 조금은 겸손해졌구나 하는 생각이 드는 순간 우리는 또 다시 교만에 빠지고 맙니다. 그럼 어떻게 해야 참된 겸손을 이룰 수 있을까요? 그렇게 하려면 우리는 겸손에 대해 알고 있어야 합니다.
겸손은 진정한 나에 대한 인식에서 비롯합니다. 내가 가진 것과 나를 동일시하거나, 내가 이룬 것과 나를 동일시할 때에 우리는 참다운 나에 대해 오해하기 시작합니다. 하느님께서 창조하신 많은 사람들 가운데 하나에 불과한 나, 하느님 없이는 단 하루도 살지 못하는 나의 존재를 잊고 살아갈 때에 우리는 교만해지기 시작합니다. 이렇게 먼지에 불과한 나를 바라볼 때에, 어떤 사람은 심한 자괴감에 빠지기도 하겠지만, 오히려 우리는 바로 거기에서 하느님의 엄청난 사랑을 발견하게 됩니다. 그래서 옛날 교부들은 겸손이 있는 곳에 사랑이 있다고 하였습니다. 또 겸손은 성령께서 머무시는 자리라고도 하였습니다.
영광을 차지하려고 하지 말고 영광스럽게 해 주시기를 청하십시오. 욕심은 비우되, 희망은 잃지 마십시오. 모든 것을 떠나 하느님 앞에서 발가벗겨진 내 모습은 얼마나 초라한 것입니까? 하지만 하느님께서 그 초라하고 추한 나를 불러 세우시고, 아끼시고, 보살피시고, 키우시고, 죽기까지 사랑하신다는 것을 잊지 마십시오. 이것이 겸손의 시작입니다.
번호 | 제목 | 작성자 | 작성일 | 추천 | 조회 |
1659 |
배반 예고 – 성주간 수요일
하느님의 사랑
| 2025.04.16 | 추천 0 | 조회 201 |
하느님의 사랑 | 2025.04.16 | 0 | 201 |
1658 |
말씀에 머무른다면 – 사순 제5주간 수요일
하느님의 사랑
| 2025.04.09 | 추천 0 | 조회 310 |
하느님의 사랑 | 2025.04.09 | 0 | 310 |
1657 |
계명을 스스로 지키고 – 사순 제3주간 수요일
하느님의 사랑
| 2025.03.26 | 추천 0 | 조회 625 |
하느님의 사랑 | 2025.03.26 | 0 | 625 |
1656 |
천사와의 만남 – 복되신 동정 마리아의 배필 성 요셉 대축일
하느님의 사랑
| 2025.03.19 | 추천 0 | 조회 793 |
하느님의 사랑 | 2025.03.19 | 0 | 793 |
1655 |
듣고 믿어서 회개함 – 사순 제1주간 수요일
하느님의 사랑
| 2025.03.12 | 추천 0 | 조회 1047 |
하느님의 사랑 | 2025.03.12 | 0 | 1047 |
1654 |
먼지로 돌아감 – 재의 수요일
하느님의 사랑
| 2025.03.05 | 추천 0 | 조회 1389 |
하느님의 사랑 | 2025.03.05 | 0 | 1389 |
1653 |
새로운 복음의 방향 – 연중 제7주간 수요일
하느님의 사랑
| 2025.02.26 | 추천 0 | 조회 1601 |
하느님의 사랑 | 2025.02.26 | 0 | 1601 |
1652 |
청원 기도 – 연중 제6주간 수요일
하느님의 사랑
| 2025.02.19 | 추천 0 | 조회 1582 |
하느님의 사랑 | 2025.02.19 | 0 | 1582 |
1651 |
나쁜 생각을 물리치려면 – 연중 제5주간 수요일
하느님의 사랑
| 2025.02.12 | 추천 0 | 조회 1968 |
하느님의 사랑 | 2025.02.12 | 0 | 1968 |
1650 |
시련의 의미 – 성녀 아가타 동정 순교자 기념일
하느님의 사랑
| 2025.02.05 | 추천 0 | 조회 2124 |
하느님의 사랑 | 2025.02.05 | 0 | 2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