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야기
복음나누기
아버지와 두 아들
나해 사순 제2주간 토요일
(루카 15,1-3.11ㄴ-32)
아버지와 두 아들
찬미예수님! 오늘 복음은 너무나도 유명한 되찾은 아들의 비유입니다. 예전 공동번역 성경의 표현으로는 탕자의 비유라고도 하지요. 이 비유는 아들에 대한 아버지의 한없는 사랑을 가르쳐줍니다. 아들의 잘못을 나무라기 전에 돌아오는 것만으로 너무나 기뻐하시는 하느님의 모습을 드러내고 있지요.
아버지에게는 두 아들이 있습니다. 그런데 둘째 아들은 아버지 곁을 떠나려고 합니다. 오로지 자기 자신의 뜻대로 살려고 하는 것이지요. 아버지는 아들을 붙잡지 않고 아들의 뜻대로 하도록 가산을 나누어 줍니다. 둘째 아들은 아버지의 풍족한 재산이 있으면 어디 가서든 잘 살 것이라 생각했습니다. 그러나 아버지로부터 받은 것들을 모두 탕진한 뒤에서야 비로소 몸뚱아리 하나뿐인 자기 자신을 직면하게 되지요. 그리고는 아버지 집에 있는 것이 얼마나 행복한 것인지를 절실하게 깨닫습니다. 자녀가 아니라 종이 되더라도 아버지 집에만 있으면 행복하다는 것을 깨닫고 스스로 아들로서가 아니라 종의 모습으로 아버지께 되돌아갑니다. 둘째 아들은 곧 하느님을 떠나 고통스런 삶을 살다가 다시 하느님의 품으로 돌아오는 그리스도인의 모습을 그리고 있습니다.
반면 큰 아들은 아버지의 곁을 떠난 적이 없습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큰 아들은 아버지 곁에서 행복하지 않았습니다. 오히려 아버지의 곁에 있는 것이 행복하다는 것을 둘째 아들이 고통을 겪고 나서야 먼저 깨달았습니다. 큰 아들의 눈에는 작은 아들은 배은망덕한 나쁜 놈이었을 것입니다. 그런데 아버지는 그 배은망덕한 놈이 돌아오자마자 자신에게는 한 번도 해주지 않은 환대를 베풀어줍니다. 그 순간 큰 아들은 이런 생각을 했겠지요. ‘아버지의 가산을 들어먹은 저 놈보다 내가 못하다는 말인가?’ 이 큰 아들은 하느님 곁에 있으면서도 행복을 느끼지 못하는 그리스도인의 모습을 대변해줍니다. 그들에게 하느님께서는 이렇게 말씀하십니다. “얘야, 너는 늘 나와 함께 있고 내 것이 다 네 것이란 걸 왜 모르느냐?”
참으로 안타깝게도, 이 비유 이야기에서는 큰 아들도, 둘째 아들도 괴로운 마음을 지닌 것은 매한가지입니다. 큰 아들은 아버지와 함께 있음이 얼마나 행복한 것인지 깨닫지 못해 괴롭고, 둘째 아들은 아버지께서 주신 것을 자기 뜻대로 하다가 비참한 신세가 되어 괴롭습니다. 우리는 모두 큰 아들, 아니면 둘째 아들입니다. 어떤 때에는 신앙 생활을 열심히 하고 성당도 열심히 나오지만, 자기보다 열심히 하지 않는 사람들이 더 주목을 받을 때에 시기와 질투를 하게 되고, 하느님께 원망을 하게 되는가 하면, 어떤 때에는 하느님의 자비와 사랑을 이용하여 내 뜻대로 하다가 차마 말로 다 할 수 없을 만큼 비참한 신세가 되고 나서야 비로소 마음으로부터 우러나오는 고백으로 다시 하느님께 돌아오기도 합니다.
중요한 것은 우리가 지금 어떤 모습으로 살든지, 어떤 마음의 상태를 갖고 있든지 지금의 있는 그대로의 모습으로 아버지를 만나야 한다는 것입니다. 우리가 큰 아들처럼 아버지를 원망해도, 작은 아들처럼 아버지의 가산을 말아먹고 비참하게 돌아와도 아버지께서는 큰 아들과 작은 아들 모두를 표현할 수 없을 만큼 사랑하고 계시기 때문입니다.
번호 | 제목 | 작성자 | 작성일 | 추천 | 조회 |
1656 |
천사와의 만남 – 복되신 동정 마리아의 배필 성 요셉 대축일
하느님의 사랑
| 2025.03.19 | 추천 0 | 조회 163 |
하느님의 사랑 | 2025.03.19 | 0 | 163 |
1655 |
듣고 믿어서 회개함 – 사순 제1주간 수요일
하느님의 사랑
| 2025.03.12 | 추천 0 | 조회 229 |
하느님의 사랑 | 2025.03.12 | 0 | 229 |
1654 |
먼지로 돌아감 – 재의 수요일
하느님의 사랑
| 2025.03.05 | 추천 0 | 조회 276 |
하느님의 사랑 | 2025.03.05 | 0 | 276 |
1653 |
새로운 복음의 방향 – 연중 제7주간 수요일
하느님의 사랑
| 2025.02.26 | 추천 0 | 조회 436 |
하느님의 사랑 | 2025.02.26 | 0 | 436 |
1652 |
청원 기도 – 연중 제6주간 수요일
하느님의 사랑
| 2025.02.19 | 추천 0 | 조회 431 |
하느님의 사랑 | 2025.02.19 | 0 | 431 |
1651 |
나쁜 생각을 물리치려면 – 연중 제5주간 수요일
하느님의 사랑
| 2025.02.12 | 추천 0 | 조회 647 |
하느님의 사랑 | 2025.02.12 | 0 | 647 |
1650 |
시련의 의미 – 성녀 아가타 동정 순교자 기념일
하느님의 사랑
| 2025.02.05 | 추천 0 | 조회 810 |
하느님의 사랑 | 2025.02.05 | 0 | 810 |
1649 |
사람들이 곧바로 예수님께 이야기하였다 – 연중 제1주간 수요일
하느님의 사랑
| 2025.01.15 | 추천 0 | 조회 1398 |
하느님의 사랑 | 2025.01.15 | 0 | 1398 |
1648 |
말씀이 이루어졌다 – 주님 공현 대축일 후 목요일
하느님의 사랑
| 2025.01.09 | 추천 0 | 조회 1783 |
하느님의 사랑 | 2025.01.09 | 0 | 1783 |
1647 |
곰곰이 되새겼다 – 천주의 성모 마리아 대축일
하느님의 사랑
| 2025.01.01 | 추천 0 | 조회 2656 |
하느님의 사랑 | 2025.01.01 | 0 | 265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