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야기

복음나누기

평화통일을 위한 천국의 기도 – 민족의 화해와 일치를 위한 기도의 날

작성자
수도회

작성일
2019-06-23 22:28

조회
1585

6월 25일 / 민족의 화해와 일치를 위한 기도의 날

제1독서 : 신명 30,1-5 / 제2독서 : 에페 4,29-5,2 / 마태 18,19ㄴ-22

오늘 6월 25일은 민족의 화해와 일치를 위한 기도의 날입니다여러 가지 어려움 속에서 이 땅의 평화를 위하여 한국 교회 전체가 한마음으로 기도하는 날입니다한국 교회는 1965년부터 남북한의 진정한 평화와 민족의 화해와 일치를 위하여 끊임없이 기도하며 노력하고 있습니다평화를 위해서는 기도와 노력이 필요합니다너희 가운데 두 사람이 이 땅에서 마음을 모아 무엇이든 청하면하늘에 계신 내 아버지께서 이루어 주실 것이다.”(마태 18,19)란 말씀처럼 우리가 함께 기도하면 이루어주실 것이라는 믿음이 필요합니다. 이루어주실 거라는 믿음으로 이 땅에 평화를 위해서 노력하시다가 2017년에 선종하신 하 안토니오 몬시뇰의 일화를 나누고자 합니다.

 

하 안토니오 몬시뇰은 독일 사람으로 1958년 4월 27일 사제서품 직후 바로 부산교구에 와서 사목활동을 합니다. 1964년 파티마의 세계 사도직을 한국에 도입하여 성모 신심을 널리 전합니다하 안토니오 몬시뇰과 파티마의 세계 사도직 단체는 1974년 5월 19일부터 지금까지 매년 5월과 10월에 세계의 평화와 한반도의 평화통일 기원하는 미사와 묵주기도를 주관하고 있습니다그분에게는 임진각 첫 미사를 준비하게 된 계기가 있었습니다.

 

현재 남북한 사이에 가로놓인 복잡한 문제는 사람의 힘으로는 풀 수 없고 하느님께서 직접 개입하셔야 한다고 생각합니다이런 생각에 골몰해 있을 무렵개신교나 불교측에서는 평화통일과 세계 평화를 위하여 소규모의 기도 모임을 했다는 소식을 영자신문을 통해 알게 되었습니다그 순간 아하우리도 임진각에서 기도모임을 가지면 어떨까?’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1974년 부활 대축일 며칠 후나는 임진각으로 달려갔고행정적인 허락을 받았습니다그리고 교황대사인 도세나 대주교님도 미사 주례를 흔쾌히 약속해 주셨습니다.

 

그리하여 우리는 1974년 5월 19일 주일 임진각에서 남북한 평화통일과 세계 평화를 기원하는 미사와 기도모임을 개최하기로 결정했습니다하 안토니오 몬시뇰의 첫 미사 강론은 다음과 같습니다.

뜻이 있으면 길이 있고 사랑이 있으면 천 갈래의 길이 있다는 독일 속담이 있습니다오늘 여러분은 같은 한 가지 뜻을 지니고 이 먼 길을 달려와 이렇게 모였습니다우리의 뜻은 확실합니다남북한 평화통일입니다그러나 이 뜻이 마음속에만 있으면 안 됩니다우리 삶을 통해 다른 모든 사람에게 영향을 미쳐야 합니다사랑만 있으면 길은 천 갈래나 있습니다같은 민족이면서도 갈라져 살면서 사랑이 거의 식고 말았습니다그러니 무엇보다도 서로 사랑하고 서로 이해하고 서로 도와주는 방향으로 노력해야 합니다.”

 

하 안토니오 몬시뇰은 1974년 임진각 첫 미사 때부터 이곳에 한반도 평화통일을 위해 기도하는 성당을 짓고 싶은 생각을 가졌습니다오랫동안 준비하여 2015년 파티마 평화의 성당을 완성합니다하 안토니오 몬시뇰은 통일에 대해 의심 없이 믿었고우리에게 기도를 제안합니다하느님의 계획 안에서 성모 마리아를 통하여 남북한 평화통일이 반드시 이루어질 것으로 믿습니다우리 모두 계속 기도합시다.” 그리고 남북한이 다시 만나고 하나가 되는 것이 마지막 소원이며천국에서도 그 사명을 수행하겠다고 하십니다. (성모님의 손에 이끌린 신부하 안토니오 몬시뇰아베마리아출판사, 2015)

 

우리나라의 평화를 위해 온 생애를 노력하신 하 안토니오 몬시뇰의 노력에 함께 해야겠다는 마음입니다최근 한반도는 하노이 회담’ 이후한반도에 불었던 거센 평화의 바람이 잦아드는 것 같아 안타까운 상황입니다지금이 기도해야 하는 때인 것 같습니다두 사람이 마음을 모아 무엇이든 청하면 들어주신다는 말씀을 믿고교황님의 방북을 기원하며우리 모두의 평화 통일을 위한 지향의 기도가 필요한 때입니다.


전체 1,655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추천 조회
1655

듣고 믿어서 회개함 – 사순 제1주간 수요일

하느님의 사랑
|
2025.03.12
|
추천 0
|
조회 175
하느님의 사랑 2025.03.12 0 175
1654

먼지로 돌아감 – 재의 수요일

하느님의 사랑
|
2025.03.05
|
추천 0
|
조회 211
하느님의 사랑 2025.03.05 0 211
1653

새로운 복음의 방향 – 연중 제7주간 수요일

하느님의 사랑
|
2025.02.26
|
추천 0
|
조회 267
하느님의 사랑 2025.02.26 0 267
1652

청원 기도 – 연중 제6주간 수요일

하느님의 사랑
|
2025.02.19
|
추천 0
|
조회 391
하느님의 사랑 2025.02.19 0 391
1651

나쁜 생각을 물리치려면 – 연중 제5주간 수요일

하느님의 사랑
|
2025.02.12
|
추천 0
|
조회 585
하느님의 사랑 2025.02.12 0 585
1650

시련의 의미 – 성녀 아가타 동정 순교자 기념일

하느님의 사랑
|
2025.02.05
|
추천 0
|
조회 764
하느님의 사랑 2025.02.05 0 764
1649

사람들이 곧바로 예수님께 이야기하였다 – 연중 제1주간 수요일

하느님의 사랑
|
2025.01.15
|
추천 0
|
조회 1284
하느님의 사랑 2025.01.15 0 1284
1648

말씀이 이루어졌다 – 주님 공현 대축일 후 목요일

하느님의 사랑
|
2025.01.09
|
추천 0
|
조회 1554
하느님의 사랑 2025.01.09 0 1554
1647

곰곰이 되새겼다 – 천주의 성모 마리아 대축일

하느님의 사랑
|
2025.01.01
|
추천 0
|
조회 2314
하느님의 사랑 2025.01.01 0 2314
1646

말씀이 사람이 되셨습니다 – 주님 성탄 대축일 – 낮 미사

하느님의 사랑
|
2024.12.25
|
추천 0
|
조회 4559
하느님의 사랑 2024.12.25 0 45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