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야기

복음나누기

수사님의 회심 – 연중 제24주간 목요일

작성자
수도회

작성일
2020-09-17 00:13

조회
3574

사형수의 십자가의 길

9월 17일 연중 제24주간 목요일

1독서 : 1코린 15,1-11 / 복음 루카 7,36-50

 

한 수사님이 어려운 이야기를 나눠 주셨습니다그 수사님은 10년 수도 생활을 하다가 수도 생활을 그만 두고 사회 생활을 시작했습니다그 수사님은 사회에서 인정받는 탈렌트가 있어서사회에서 어려움 없이 잘 지냈습니다직장 일을 하다가갈매못 성지 근처에 가게 되었습니다성지 성당에 가서 기도를 하게 되었는데마음에 울림이 있었습니다. “너는 밖에서도 잘 살 수 있고수도원에서도 잘 살 수 있다어렵겠지만 나하고 같이 살지 않겠니?” 수사님은 마음안의 울림을 듣고 깨달았습니다. “내가 잘못 살았구나내가 하느님께 죄를 지었구나다시 수도원에 돌아가야겠다.” 그 수사님은 주님 앞에서자신만이 바라는 삶을 살아왔음을 후회하고반성하고뉘우칩니다그리고 다시 수도원에 문을 두드렸고수도 생활을 시작했습니다주님 앞에 죄인임을 고백하고주님께로의 회심을 보여 주었습니다.

오늘 복음의 여인을 봅니다여인은 자신이 죄인임을 알고 있었습니다. “그 여자는 향유가 든 옥합을 들고서 예수님 뒤쪽 발치에 서서 울며눈물로 그분의 발을 적시기 시작하더니 자기의 머리카락으로 닦고 나서그 발에 입을 맞추고 향유를 부어 발랐다.”(루카 7,37-38) 예수님께서는 그 여인이 죄의 용서를 얻기 위해 하는 행동을 보십니다예수님께서는 그 여인의 죄를 용서해 주십니다

 

다음으로사형수분의 십자가의 길 책을 보면진심어린 통회를 볼 수 있었습니다도 토마스 형제님의 묵상입니다. “어리석고 보잘것없는 저는 세상살이 할 때 온 세상을 제 것으로 생각하며 자만과 오만으로 가득 차 있었습니다온갖 집착과 욕심으로 인해 돌이킬 수 없는 시간을 보냈고상상조차 할 수 없는 죄를 짓게 되었습니다그로 인해 피해자 가족에게는 치유할 수 없는 상처와 고통을 안겨 주었고또한 제 가족에게도 말할 수 없는 고통의 굴레를 씌웠습니다.”

주님지금 제가 할 수 있는 일은 아무것도 없습니다하지만상처받은 분들에게 진심으로 용서를 구하며 회개해야만 합니다그래서 더 혹독한 고통 속에서 희생하고 기도하며 주어진 시간을 소중하게 살아가겠습니다.”

 

예수님당신이 사형수가 되시어 십자가를 지셨던 그 살벌한 상황에 제가 있었다면 저는 과연 주님의 얼굴을 닦아 드릴 용기가 있었을까요재판이 끝나고 이곳에 수용된 후로 많은 세월이 흘러갔습니다눈으로 보이는 세상은 너무나 많이 달라졌지만 제 내면은 별다른 변화가 없습니다용기가 부족한 저는 죄책감만 가질 뿐저로 인해 고통을 받는 분들을 위해 선뜻 나서서 행동하지 못합니다오히려 모든 기억을 지우려고만 했던 제가 얼마나 비겁하고 하찮은 존재인지 다시 한 번 깨달았습니다.”

제가 스스로 지은 죄에 절망할 때 진실된 믿음으로 고인이 되신 피해자와 그분의 가족을 위해서 기도드리는 것이 최소한의 예의며 도리였습니다지금 제 처지에선 진정으로 회개하는 마음이야말로 제게 가장 필요한 아름다운 용기라 생각합니다주님제게 그런 용기를 허락해 주소서.”

 

예수님께서는 사형수 분처럼진실된 통회를 기다리고 계실 것입니다예수님께서는 죄가 아무리 크더라도진심으로 통회하는 이의 죄를 용서해 주십니다오늘 여인이 죄를 용서받은 것과 수사님이 용서받은 것의 공통점이 있습니다내가 죄인임을 뉘우치고예수님께 가서용서를 청하는 행동을 한 것입니다사형수 분도 주님 앞에 자신의 죄를 뉘우치고피해자의 영혼과 피해자를 위해 기도합니다예수님께서는 여인에게 네 믿음이 너를 구원하였다.”(루카 7,50) 하십니다예수님께서 칭찬하신 믿음은 내가 죄인임을 깨닫고진심으로 뉘우치는 마음입니다.’ 오늘은 여인처럼수사님처럼사형수처럼 우리가 죄인임을 고백하는 하루가 되었으면 합니다.  

 

유튜브 영상

” target=”_blank” rel=”noopener”>


전체 1,663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추천 조회
1663

골방에서 드리는 기도 – 연중 제11주간 수요일

하느님의 사랑
|
2025.06.18
|
추천 0
|
조회 353
하느님의 사랑 2025.06.18 0 353
1662

예수님 없이 아무것도 하지 못합니다 – 부활 제5주간 수요일

하느님의 사랑
|
2025.05.21
|
추천 0
|
조회 1840
하느님의 사랑 2025.05.21 0 1840
1661

부활의 증인 – 성 마티아 사도 축일

하느님의 사랑
|
2025.05.14
|
추천 0
|
조회 2755
하느님의 사랑 2025.05.14 0 2755
1660

말씀을 전하였다 – 부활 제3주간 수요일

하느님의 사랑
|
2025.05.07
|
추천 0
|
조회 3169
하느님의 사랑 2025.05.07 0 3169
1659

배반 예고 – 성주간 수요일

하느님의 사랑
|
2025.04.16
|
추천 0
|
조회 4530
하느님의 사랑 2025.04.16 0 4530
1658

말씀에 머무른다면 – 사순 제5주간 수요일

하느님의 사랑
|
2025.04.09
|
추천 0
|
조회 4690
하느님의 사랑 2025.04.09 0 4690
1657

계명을 스스로 지키고 – 사순 제3주간 수요일

하느님의 사랑
|
2025.03.26
|
추천 0
|
조회 4996
하느님의 사랑 2025.03.26 0 4996
1656

천사와의 만남 – 복되신 동정 마리아의 배필 성 요셉 대축일

하느님의 사랑
|
2025.03.19
|
추천 0
|
조회 4815
하느님의 사랑 2025.03.19 0 4815
1655

듣고 믿어서 회개함 – 사순 제1주간 수요일

하느님의 사랑
|
2025.03.12
|
추천 0
|
조회 4861
하느님의 사랑 2025.03.12 0 4861
1654

먼지로 돌아감 – 재의 수요일

하느님의 사랑
|
2025.03.05
|
추천 0
|
조회 4997
하느님의 사랑 2025.03.05 0 49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