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야기

복음나누기

코로나와 신앙 – 연중 제29주간 금요일

작성자
수도회

작성일
2020-10-22 23:17

조회
2166

코로나와 신앙

10월 23일 연중 제29주간 금요일

1독서 에페 4,1-6 / 복음 루카 12,54-59

 

오늘 복음의 핵심 말씀으로 너희는 땅과 하늘의 징조는 풀이할 줄 알면서이 시대는 어찌하여 풀이할 줄 모르느냐?”(루카 12,56)로 볼 수 있습니다이 말씀에서 이 시대를 현실에 적용해 보면, ‘코로나로 볼 수 있습니다. ‘코로나라는 신비로운 상황이 우리에게 와 있습니다오늘의 주제는 코로나와 신앙입니다.

먼저 교리적으로 코로나라는 재난에 대한 해석입니다하느님께서 물리적 악과 윤리적 악을 허락하심은 신비입니다지금 우리가 마주하고 있는 코로나는 물리적인 악입니다하느님의 자비로움에 비추어 볼 때 코로나를 이해하기 어렵습니다하지만 하느님께서는 이러한 질병으로 고통 당한 사람들과 함께 고통을 받으십니다또한 희생자들을 돕도록 다른 사람들의 마음을 이끄십니다이렇게 하여 악으로부터 선한 어떤 것이 나올 수 있습니다하느님은 그것을 위해 우리의 도움을 필요로 하십니다그러나 하느님께서 코로나를 허락하심에 대한 답은 찾기 어렵습니다악은 우리에게 여전히 신비입니다.(참조 미헬 레메리하느님과 트윗을가톨릭 출판사, 86, 2016) 신비이기에 하느님께서 악으로부터 선을 끌어내지 않으시다면 악을 허락하실 리 없다는 것을 신앙으로 확신합니다.(가톨릭 교회 교리서, 324

 

다음으로 코로나 상황에서 현실을 봅니다의정부 교구 코로나 신자 의식 조사(중복 응답 허요)입니다. ‘미사에 대한 간절함이 커졌다’(46.4%) ‘하느님이 어디든 계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39.3%) 그리고 대안으로 신앙 의식 재정립’(38.4%), ‘성당 중심에서 일상 중심의 신앙 실천으로 의식구조 변화’(35.9%)가 있었습니다.

이를 해석하면하느님의 현존을 체험하는 방식이 변화하였음을 알 수 있습니다이전에는 성당에서 거룩함이나 성스러움에서 하느님의 현존을 체험했다면이제는 매일의 일상에서 하느님을 만나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일상에서 하느님을 만남에 대해 한 본당의 사례입니다비대면으로 함께 나누는 신앙 생활입니다서울대교구 신정 3동 본당은 365일 성경 읽기를 통해서성경 통독에 들어갔습니다말씀이 신자들의 내면 안에 마르지 않는 샘물이 되도록 하려는 취지였습니다신부님은 성서 100주간을 기획했지만코로나로 비대면 사목에 관한 고민을 하게 되었습니다고민 끝에 함께 성경 읽기 프로그램을 하게 되었습니다신자분들의 반응은 좋았습니다. “숙제처럼죽기 전에 꼭 해야 할 일로 남아 있던 걸 신부님이 제안하시자마자 참여했습니다.” “비대면이지만서로 게으름을 피우지 않도록 격려하면서 잘 이어나가고 있습니다.” 신부님은 주일미사에도 잘 오지 못하고 하느님과 멀어지는 느낌이 들곤 하는 신자들에게 성경 통독을 통해 날마다 주님과 함께 살고 주님과 가까워지는 계기를 만들어주려고 했다고 하셨습니다.

처음 계획대로 성서 백주간을 하지 못했지만새로운 방식으로성경 말씀을 가까이 하게 되었습니다새로운 신앙 생활의 모습입니다. (참조 오세택「성당 못가도 성경 통독하며 함께 말씀 나눠요」가톨릭평화신문, 2020.07.19)

 

코로나로 성당에서 특별한 활동을 하기가 어려워 졌습니다코로나가 우리의 신앙을 위협한다고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하지만 하느님께서는 모든 것을 선으로 이끄실 것입니다토마스 모어 성인은 하느님께서 원하시지 않는 일은 아무것도 일어날 수 없다비록 하느님께서 원하시는 모든 것이 우리 눈에 매우 나쁘게 보일 수도 있지만그래도 그것이 우리를 위하여 가장 좋은 것이다.”라고 하십니다성당에서 대면 활동이 어려워 졌지만각 가정이 개별적인 성당이 될 수 있습니다일상에서 예수님을 체험하는 신앙 생활을 이어가고자 합니다코로나 상황에서 어떻게 예수님을 만나고어떻게 신앙 생활을 할것인가?’는 우리 모두에게 주어진 화두입니다.

유튜브 영상

” target=”_blank” rel=”noopener”>


전체 1,656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추천 조회
1656

천사와의 만남 – 복되신 동정 마리아의 배필 성 요셉 대축일

하느님의 사랑
|
2025.03.19
|
추천 0
|
조회 147
하느님의 사랑 2025.03.19 0 147
1655

듣고 믿어서 회개함 – 사순 제1주간 수요일

하느님의 사랑
|
2025.03.12
|
추천 0
|
조회 220
하느님의 사랑 2025.03.12 0 220
1654

먼지로 돌아감 – 재의 수요일

하느님의 사랑
|
2025.03.05
|
추천 0
|
조회 270
하느님의 사랑 2025.03.05 0 270
1653

새로운 복음의 방향 – 연중 제7주간 수요일

하느님의 사랑
|
2025.02.26
|
추천 0
|
조회 427
하느님의 사랑 2025.02.26 0 427
1652

청원 기도 – 연중 제6주간 수요일

하느님의 사랑
|
2025.02.19
|
추천 0
|
조회 428
하느님의 사랑 2025.02.19 0 428
1651

나쁜 생각을 물리치려면 – 연중 제5주간 수요일

하느님의 사랑
|
2025.02.12
|
추천 0
|
조회 639
하느님의 사랑 2025.02.12 0 639
1650

시련의 의미 – 성녀 아가타 동정 순교자 기념일

하느님의 사랑
|
2025.02.05
|
추천 0
|
조회 800
하느님의 사랑 2025.02.05 0 800
1649

사람들이 곧바로 예수님께 이야기하였다 – 연중 제1주간 수요일

하느님의 사랑
|
2025.01.15
|
추천 0
|
조회 1386
하느님의 사랑 2025.01.15 0 1386
1648

말씀이 이루어졌다 – 주님 공현 대축일 후 목요일

하느님의 사랑
|
2025.01.09
|
추천 0
|
조회 1759
하느님의 사랑 2025.01.09 0 1759
1647

곰곰이 되새겼다 – 천주의 성모 마리아 대축일

하느님의 사랑
|
2025.01.01
|
추천 0
|
조회 2622
하느님의 사랑 2025.01.01 0 26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