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사

학위논문

이대근, 『조선후기 근기남인의 서학수용에 관한 연구 : 천주교를 중심으로』,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3, 4, 박사(동양철학)

작성자
수도회

작성일
2013-02-20 11:45

조회
257

이대근, 『조선후기 근기남인의 서학수용에 관한 연구 : 천주교를 중심으로』,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3, 4, 박사(동양철학)

 

Ⅰ. 緖論

     1. 問題提起와 硏究方向

     2. 硏究範圍와 硏究方法

 

Ⅱ. 近畿南人學風의 形成과 人格的 天觀

     1. 17世紀의 社會變動과 思想的 動向

     2. 眉叟 許穆의 天觀

          1) 古學的 經學

          2) 天觀

     3. 白湖 尹鑴의 天觀

          1) 原初儒學 中心의 經學思想

          2) 人格的 天觀

               (1) 儒學 本然의 宗敎的 天觀의 指向

               (2) 畏天을 바탕으로 한 修養論

 

Ⅲ. 星湖學派의 西學 天主觀 受容의 基盤

     1. 18世紀의 社會變動과 思想的 動向

          1) 政治・社會 經濟的 狀況

          2) 思想的 動向

     2. 星湖學派의 思想的 分岐와 鹿菴系列의 天主敎 受容

          1) 星湖學派의 思想的 分岐와 左派의 學問 傾向

          2) 權哲身의 西敎 受容과 그 役割

     3. 星湖學派와 西敎의 思想的 接脈 基盤

          1) 星湖學派 西學 天主敎 受容의 補助的 基盤

               (1) 脫性理學的 學風과 原初儒學 世界에의 接近

               (2) 學問的 主體로서의 認識과 ‘自得’의 强調

               (3) 開放的 學風과 包容的 異端觀

               (4) 陽明學의 媒介的 役割

               (5) 西學(科學技術)의 媒介的 役割

          2) 星湖學派 西學 天主敎 受容의 根本的 基盤

               (1) 李瀷 天觀의 兩者 媒介的 機能

               (2) 李瀷 門下의 天觀의 發展方向

 

Ⅳ. 西學 天主觀의 土着化 樣相

     1. 初期 信仰共同體의 創設과 定着 過程

     2. 李檗을 통해 본 初期 補儒論的 天主觀

          1)『中庸』의 昭事學的 解釋

               (1)「鬼神之爲德節」

               (2)「故君子尊德性而道問學節」

               (3)「詩云德輶如毛節」

          2) 天主敎理의 補儒論的 理解

               (1) <天主恭敬歌>

               (2) <聖敎要旨>

     3. 辛亥敎難 以後의 護敎論的 天主觀

          1) <쥬교요지>의 補儒論的 天主觀

          2) <쥬교요지>의 護敎論的 天主觀

               (1) 天主觀

               (2) 그리스도觀

          3) 殉敎記錄 속의 天主信仰

     4. 辛酉敎難 以後의 絶對救援的 天主觀

          1) 資料分析

          2) 補儒論 및 護敎論的 天主觀

               (1) 補儒論的 天主觀

               (2) 護敎論的 天主觀

          3) 絶對救援的 天主觀의 受容

               (1) 絶對救援的 天主觀

               (2) 天主의 救援에 참여하는 길

     5. 天主觀 土着化 樣相에 대한 評價와 展望

 

Ⅴ. 결론

 

 參考文獻

 

英文抄錄


전체 396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추천 조회
396

홍민자, 「천주가사의 교회음악적 의의-『천당노래』(베틀노래)를 중심으로-」

수도회
|
2014.03.15
|
추천 0
|
조회 1526
수도회 2014.03.15 0 1526
395

조화선, 「『성경직해』의 연구」

수도회
|
2014.03.15
|
추천 0
|
조회 1202
수도회 2014.03.15 0 1202
394

김진소, 「천주가사 사상연구 시론」

수도회
|
2014.03.15
|
추천 0
|
조회 1131
수도회 2014.03.15 0 1131
393

최윤환, 「한국 공과의 원본인 천주경과의 저자 -J. M. Moye의 생애와 업적-」

수도회
|
2014.03.15
|
추천 0
|
조회 1005
수도회 2014.03.15 0 1005
392

안화숙, 「조선후기의 천주교 여성활동과 여성관의 발전」

수도회
|
2014.03.15
|
추천 0
|
조회 1350
수도회 2014.03.15 0 1350
391

김옥희, 「이 루갈다의 옥중서간과 그 사적 의의」

수도회
|
2014.03.15
|
추천 0
|
조회 1701
수도회 2014.03.15 0 1701
390

강연희, 「조선후기 서학의 조상제사문제」

수도회
|
2014.03.15
|
추천 0
|
조회 993
수도회 2014.03.15 0 993
389

최기복, 「조선조에 천주교의 폐제훼주와 유교제사의 근본의미」

수도회
|
2014.03.15
|
추천 0
|
조회 1083
수도회 2014.03.15 0 1083
388

유병기, 주명준, 「충청도의 천주교 전래 -이재창의 활동을 중심으로-」

수도회
|
2014.03.15
|
추천 0
|
조회 889
수도회 2014.03.15 0 889
387

최상천, 「正祖朝 천주교회운동의 성격」

수도회
|
2014.03.15
|
추천 0
|
조회 926
수도회 2014.03.15 0 9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