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사

학위논문

김복순, 『한국현대여류시에 나타난 애정의식연구 : 모윤숙·노천명·김남조·홍윤숙 시를 중심으로』,서울여대 대학원, 1990. 2, 박사(국문학)

작성자
수도회
작성일
2013-02-19 18:30
조회
340

김복순, 『한국현대여류시에 나타난 애정의식연구 : 모윤숙·노천명·김남조·홍윤숙 시를 중심으로』,

                                                                                                                                         서울여대 대학원, 1990. 2, 박사(국문학)

 

 

Ⅰ. 序論

     1. 硏究目的 2. 方法 및 範圍

     3. 硏究史 考察

 

 

Ⅱ. 毛允淑의 民族的 愛情意識

     1. 詩的 背景으로서의 民族

     2. 體驗的 自覺으로서의 民族的 愛情意識

          1) 習作期

          2) 데뷔 前後期

          3) 意慾의 旺盛期

          4) 6.25의 悲劇期

          5) 文學團體長으로서의 活動期

     3. 詩的 表出로서의 民族的 愛情意識

          1) 6.25 以前

               ① 소박한 民族情緖의 「빛나는 地域」 時代

               ② 熱情的 憧憬의 이데아 「렌의 哀歌」 時代

          2) 6.25 以後

               ① 時代精神의 表象인 「風浪」 時代

               ② 李朝女人의 氣槪를 통한 民族愛 「論介」 時代

 

 

Ⅲ. 慮天命의 孤獨的 愛情意識

          1) 習作期

          2) 데뷔 前後期

          3) 孤高한 熱情期

          4) 6.25의 悲劇期

          5) 카톨릭으로 歸依한 末期

     3. 詩的 表出로서의 孤獨的 愛情意識

          1) 6.25 以前

               ① <사슴>과 鄕愁의 「珊瑚林」 時代

                ② <南사당>과 安定된 鄕愁 「窓邊」 時代

          2) 6.25 以後

                ① 現實參與와 意識的인 詩的 變貌로서의 <愛國詩> 時代

                ② <북으로 북으로>와 試鍊 속의 「별을 쳐다보며」 時代

 

 

Ⅳ. 金南祚의 에로스적 愛情意識

     1. 詩的 背景으로서의 에로스

     2. 詩的 表出로서의 에로스적 愛情意識

          1) 感覺的 에로스

               ① 生命燃燒로서의 「목숨」期

               ② 諦念 表現으로서의 「情念의 旗」 期

          2) 信仰的 에로스

               ① 神의 思慕로서의 「사랑草書」 期

               ② 神의 恩寵으로서의 「同行」 期

               ③ 平和의 難題로서의 「바람세례」 期

     3. 에로스적 愛情意識의 이미지

          1) 물의 이미지로 나타난 感覺的 에로스

          2) 불의 이미지로 나타난 信仰的 에로스

          3) 대지의 이미지로 나타난 人間的 에로스

 

 

Ⅴ. 洪允淑의 日常的 愛情意識

     1. 詩的 本質로서의 日常

     2. 詩的 表出로서의 日常的 愛情意識

          1) 消滅對象으로서의 「裝飾論」 期

          2) 根源追求로서의 「日常의 時計소리」 期

          3) 永遠한 救援으로서의 「태양의 건너마을」 期

     3. 日常的 愛情意識의 이미지

          1) 時間的 이미지

          2) 空間的 이미지

 

 

Ⅵ. 結論

전체 396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추천 조회
396
홍민자, 「천주가사의 교회음악적 의의-『천당노래』(베틀노래)를 중심으로-」
수도회 | 2014.03.15 | 추천 0 | 조회 824
수도회 2014.03.15 0 824
395
조화선, 「『성경직해』의 연구」
수도회 | 2014.03.15 | 추천 0 | 조회 702
수도회 2014.03.15 0 702
394
김진소, 「천주가사 사상연구 시론」
수도회 | 2014.03.15 | 추천 0 | 조회 531
수도회 2014.03.15 0 531
393
최윤환, 「한국 공과의 원본인 천주경과의 저자 -J. M. Moye의 생애와 업적-」
수도회 | 2014.03.15 | 추천 0 | 조회 674
수도회 2014.03.15 0 674
392
안화숙, 「조선후기의 천주교 여성활동과 여성관의 발전」
수도회 | 2014.03.15 | 추천 0 | 조회 845
수도회 2014.03.15 0 845
391
김옥희, 「이 루갈다의 옥중서간과 그 사적 의의」
수도회 | 2014.03.15 | 추천 0 | 조회 1032
수도회 2014.03.15 0 1032
390
강연희, 「조선후기 서학의 조상제사문제」
수도회 | 2014.03.15 | 추천 0 | 조회 566
수도회 2014.03.15 0 566
389
최기복, 「조선조에 천주교의 폐제훼주와 유교제사의 근본의미」
수도회 | 2014.03.15 | 추천 0 | 조회 736
수도회 2014.03.15 0 736
388
유병기, 주명준, 「충청도의 천주교 전래 -이재창의 활동을 중심으로-」
수도회 | 2014.03.15 | 추천 0 | 조회 555
수도회 2014.03.15 0 555
387
최상천, 「正祖朝 천주교회운동의 성격」
수도회 | 2014.03.15 | 추천 0 | 조회 605
수도회 2014.03.15 0 6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