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사

학위논문

이재섭,『조선후기 천주교가 민중교육에 끼친 영향』, 경북대 대학원, 1999. 8, 박사(교육학)

작성자
수도회
작성일
2013-02-20 10:26
조회
141

이재섭,『조선후기 천주교가 민중교육에 끼친 영향』, 경북대 대학원, 1999. 8, 박사(교육학)

 

Ⅰ. 서론

     1. 문제의 제기

     2. 연구의 목적

     3. 연구의 시각과 분석의 준거

     4. 연구의 방법과 제한점

 

Ⅱ. 이론적 배경

     1. 민중과 민중 의식의 개념

     2. 민중 교육의 개념

     3. 천주교 종교 활동의 민중 교육적 기능

 

Ⅲ. 비판적 이데올로기 교육

     1. 비판적 이데올로기의 형성

     2. 서적을 통한 비판적 이데올로기의 학습

     3. 비판적 이데올로기의 실천

 

Ⅳ. 인간화 교육

     1. 새로운 인간관의 형성

     2. 전례 활동을 통한 인간화의 학습

     3. 주체적 의지의 실천

 

Ⅴ. 평등주의 교육

     1. 평등주의 가치관의 형성

     2. 전교 활동을 통한 평등주의의 학습

     3. 평등주의의 실천

 

Ⅵ. 결론

 

참고문헌

 

영문초록

전체 396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추천 조회
396
홍민자, 「천주가사의 교회음악적 의의-『천당노래』(베틀노래)를 중심으로-」
수도회 | 2014.03.15 | 추천 0 | 조회 864
수도회 2014.03.15 0 864
395
조화선, 「『성경직해』의 연구」
수도회 | 2014.03.15 | 추천 0 | 조회 728
수도회 2014.03.15 0 728
394
김진소, 「천주가사 사상연구 시론」
수도회 | 2014.03.15 | 추천 0 | 조회 554
수도회 2014.03.15 0 554
393
최윤환, 「한국 공과의 원본인 천주경과의 저자 -J. M. Moye의 생애와 업적-」
수도회 | 2014.03.15 | 추천 0 | 조회 691
수도회 2014.03.15 0 691
392
안화숙, 「조선후기의 천주교 여성활동과 여성관의 발전」
수도회 | 2014.03.15 | 추천 0 | 조회 880
수도회 2014.03.15 0 880
391
김옥희, 「이 루갈다의 옥중서간과 그 사적 의의」
수도회 | 2014.03.15 | 추천 0 | 조회 1058
수도회 2014.03.15 0 1058
390
강연희, 「조선후기 서학의 조상제사문제」
수도회 | 2014.03.15 | 추천 0 | 조회 582
수도회 2014.03.15 0 582
389
최기복, 「조선조에 천주교의 폐제훼주와 유교제사의 근본의미」
수도회 | 2014.03.15 | 추천 0 | 조회 753
수도회 2014.03.15 0 753
388
유병기, 주명준, 「충청도의 천주교 전래 -이재창의 활동을 중심으로-」
수도회 | 2014.03.15 | 추천 0 | 조회 571
수도회 2014.03.15 0 571
387
최상천, 「正祖朝 천주교회운동의 성격」
수도회 | 2014.03.15 | 추천 0 | 조회 616
수도회 2014.03.15 0 6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