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사

도서자료

배우성,『조선과 중화』

작성자
수도회
작성일
2015-01-22 13:06
조회
109

배우성,『조선과 중화』돌베개, 2014.

책을 펴내며 : 중화세계관이 그린 조선 지성사의 궤적을 좇아서

프롤로그 : 중화를 바라보는 시선

 

1: ‘위대한 청나라와 문명의 계승자사이에서

1장 삼전도비는 조선 지식인에게 무엇이었나

2장 김수홍의 지도중화세계를 꿈꾸다

2지리와 풍토론은 어떻게 중화관을 형성했는가

1장 풍토와 소중화의 맹아

2장 풍토와 언어

3장 풍토론의 전개와 중화관의 내면화

3조선은 왜 만주 지리에 관심을 갖게 되었을까

1장 국제질서와 만주 지리의 중요성

2장 청나라 지리지에 나타난 백두산과 주변 하천

4변경과 역사적 고토는 어떻게 인식되었는가

1장 변경과 국경

2장 누가왜 고토를 회복해야 하는가

5중국 밖의 세계와 지리적 시야의 확대

1장 중국문화의 경계로서의 유구

2장 하이또 다른 위기 가능성

3장 중화 밖 세계로 지리적 시야를 확대하다

6세계의 인식과 지리적 중화

1장 명청대 중국의 세계 인식

2장『지봉유설』이 구성한 외국 세계 또는 서역

3장 세계에 관한 동양적 모델과 천하도

4장『환영지』가 구성한 세계

7중화세계관이 그린 마지막 궤적

1장 김정규공자를 들어 조국을 가리키다

2장 유인석유교적 동양론을 제기하다

 

에필로그 : 중화세계관이 그린 궤적을 맥락적으로 독해하기

찾아보기

전체 3,724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추천 조회
3724
김용섭, 『朝鮮後期農業史硏究Ⅰ(조선후기농업사연구)』
수도회 | 2015.02.23 | 추천 0 | 조회 803
수도회 2015.02.23 0 803
3723
김용섭, 『朝鮮後期農業史硏究Ⅱ(조선후기농업사연구)』
수도회 | 2015.02.23 | 추천 0 | 조회 953
수도회 2015.02.23 0 953
3722
한영우, 『朝鮮前期 社會思想硏究(조선전기 사회사상연구)』
수도회 | 2015.02.23 | 추천 0 | 조회 669
수도회 2015.02.23 0 669
3721
정석종, 『朝鮮後期社會變動硏究(조선후기사회변동연구)』
수도회 | 2015.02.22 | 추천 0 | 조회 737
수도회 2015.02.22 0 737
3720
오갑균, 『朝鮮後期黨爭硏究(조선후기당쟁연구)』
수도회 | 2015.02.22 | 추천 0 | 조회 902
수도회 2015.02.22 0 902
3719
오영교, 『조선후기 사회사 연구』
수도회 | 2015.01.26 | 추천 0 | 조회 877
수도회 2015.01.26 0 877
3718
이광호, 「미군정의 교육정책」
수도회 | 2015.01.23 | 추천 0 | 조회 638
수도회 2015.01.23 0 638
3717
김윤식, 「해방공간의 문학」
수도회 | 2015.01.23 | 추천 0 | 조회 732
수도회 2015.01.23 0 732
3716
임헌영, 「해방직후 지식인의 민족현실 인식」
수도회 | 2015.01.23 | 추천 0 | 조회 739
수도회 2015.01.23 0 739
3715
성한표, 「9월 총파업과 노동운동의 전환」
수도회 | 2015.01.23 | 추천 0 | 조회 643
수도회 2015.01.23 0 643